반응형

전체 글 171

2020년 경자년 운세 뜻 풀이

취미로 공부하는 명리학에 대해 정리하고자 나름의 생각을 적어본다. 절대 전문가의 말이 아니므로 그냥 스쳐 지나가듯 읽어주길 바란다. 경자년은 2020년 처럼 한해를 부르는 이름이다. 띠별 운세를 볼 때 항상 경자년, 임해년, 이런 식으로 이름이 붙는다. 2021년은 신축년이 된다. 이름이 정해지는 원칙은 천간과 지지를 붙여서 순서대로 돌아간다. 천간의 경우는 60 갑자라고 해서 십간(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이 10년 단위로 움직이고, 지지는 12가지 동물(자-쥐, 축-소, 인-호랑이, 묘-토끼, 진-용, 사-뱀, 오-말, 미-양, 신-원숭이, 유-닭, 술-개, 해-돼지)을 뜻하는데 순서대로 붙는다. 예) 갑-자, 을-축, 병-인, 정-묘... 60세가 되면 회갑이라고 해서 다..

2020년 우리나라 국운, 김정은과 중국 예언 모음

역술가들이 개인의 미래를 예언한다면 미래학자들은 학자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예측을 하니 비슷한 부류가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경자년에 우리나라의 국운이 굉장히 안좋다고 하는데 김정은 사망설과 중국에 관한 예언을 모아 정리해봤다. 올해 들어 찾아본 우리나라 국운에 대한 예언중 기억에 남는 것은 어느 신문사 인터뷰에서 본 것인데 경자년이라 폐와 관련되 안좋은 일이 일어날 수 있으니 대비하라는 것이었다. 여기저기 떠돌며 본거라 어느 신문사였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러면서 매운 음식을 자주 섭취해주는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여 웃고 지나갔는데 코로나19 사태가 났다. 또 작년 11월에 발행된 '4개의 샘'이라는 책에도 앞으로는 폐와 관련된 바이러스가 창궐하기 쉽다고 했었다. 역에 통달한 율..

월별 탄생석 의미 뜻 간단정리

탄생석은 사람들에게 오랫동안 초자연적인 힘이 있다는 믿음을 주었고, 현대까지도 그 믿음은 그다지 변하지 않은 것 같다. 탄생석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수호천사처럼 나를 위험에서 보호해주거나 건강을 지켜주거나 행운을 불러온다고 믿는다. 오래전에는 인간의 운명을 점치는데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보석의 종류가 많아짐에 따라 20세기가 지나면서 가치평가가 달라지고 추가된 보석도 있다고 한다. 탄생석의 기원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구약성경에서는 홍보석, 황옥, 녹주 옥, 석류석, 홍마노, 호박, 자수정, 벽옥, 옥수, 자수정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탄생석에 따라 의미와 뜻, 그리고 그 달에 태어난 사람들의 기질적 특질은 다음과 같다. 월별 탄생석 의미와 뜻은 업로드 되는데로 링크를 걸어두고 있..

경칩 뜻 날짜 음식 - 24절기 봄 3

경칩이란 그 뜻과 날짜 궁금했다. 24절기중 우수 경칩의 날짜는 양력 3월5일 또는 6일에 해당하고, 2022년에는 3월 5일로 태양의 황경이 345도의 위치에 올 때이다. 이 글에서는 경칩 뜻 경칩 음식 경칩 인사말을 함께 알아보자. 24절기는 농사력으로 입춘을 시작으로 새해를 시작한다. 봄 절기의 두 번째에 있고, 입춘을 지나고 정월 대보름을 지나 우수가 온다. 절기는 태음태양력을 사용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이전 글을 참고하면 된다. 정월대보름은 태음력이고 경칩은 태양력의 절기로 달이 차고 기우는 기준을 기본 달력으로 삼고, 여기에 계절을 맞춰 사용한 것이다. 24절기 중 봄의 절기 3번째 경칩. 계절 : 봄 (음력2월) 날짜 : 2020년 3월 5일 관련 속담 : 경칩 지난 게로군, 경칩이 되..

천연화장품 만들기 1- 정제수 정수기물 생수 수돗물

천연화장품 만들기 전 꼭 알아야 할 화장품의 구성 여기에 정리하는 천연화장품 만들기는 책을 참고하고, 그동안 배운것들을 내 공부를 위해 정리하는 글들이다. 그러니 지식이 짧아 다소 편향되거나 단편적인 지식이 있을 수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언제나 검증의 단계를 거치기 바란다. 요즘은 뭐든 만들어 쓰는 메이커의 시대이다. 흔히 핸드메이드, diy라고 하는데 이제는 천연비누 뿐만 아니라 천연화장품 만들기도 어느정도 자리를 잡았다. 나만의 천연화장품 만들기는 시중에 나와있는 제품들의 알수 없는 성분들에서 조금이라도 해방되고 싶은 욕구, 환경을 생각하는 친환경적인 사고와 태도 등에서 시작되었거나, 피부의 트러블 때문에 순한 화장품을 써야 하는데 도저히 찾을 수 없어서, 혹은 아토피 같은 문제가 있거나 하는 사람..

24절기 우수 뜻 우리나라 24절기

24절기 우수 뜻과 우리나라 24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봄 하면 떠오르는 절기가 입춘, 우수, 경칩입니다. 뉴스에서 날씨예보중에 입춘인데 아직 날이 춥다거나 우수라서 비가 온다거나 경칩이니 개구리가 깨어난다거나 하는 이야기를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24절기중 우수 뜻은 무엇인지, 우수 음식, 우수 속담과 의미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24절기 유래는 중국의 절기에서 왔다는 설이 있습니다. 24절기는 농사력으로 입춘을 시작으로 새해를 시작합니다. 24절기는 총 4번의 계절동안 6개의 절기를 갖게 됩니다. 24절기를 음력으로 알고 있는 분들이 많지만 정확히 얘기하면 절기는 태양력을 따른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부족하고, 달의 움직임도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음력이라고 하는 달력을 사용해 생활의 불편을 줄..

2월의 탄생석 자수정 의미, 뜻

2월의 탄생석 자수정 - 마음의 평화와 성실을 의미 2월의 탄생석은 자수정으로 의미와 뜻에 대해 다양하게 알아본다. 자수정은 보라색을 띄는데 심리학적으로 보라색은 고고함, 세련됨등의 이미지를 갖고 있어 서양에서는 귀족과 귀부인들의 옷에 많이 사용되었다. 정서적으로 보라색은 고귀함, 순수함, 신성함, 죽음등을 상징하는데 천주교에서는 사순절이라는 전례에서 보라색 제의를 입는다. 천주교에서 보라색은 회개와 속죄를 뜻하고 죽음을 묵상하는 사순시기에 보라색 제의를 입는 신부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제의에 사용될 정도로 귀한 색이고 특별한 의미를 갖는 보라빛을 띄는 2월의 보석 자수정.자수정은 흔히 여자들이 좋아하는 색으로 알려져 있다. 신비한 느낌과 고급스러움이 주색인 레드와 블루의 조화에 따라 다양한 보라색을..

20년 24절기표 날짜 정리

20년 24절기 날짜표 20년 24절기력 표 정리. 사주를 볼때 사용하는 절기력, 농사에도 사용되는 중요한 력으로 우리생활에 크게 보이지 않지만 아직도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흔히 잘못아는게 사주를 볼때는 음력으로 본다고 알고 있지만 사주는 절기력으로 본다. 그래서 새해의 첫 시작일은 입춘일이다. 개인적으로 절기력에 음력을 봐야 얼추 맞는것 같아 음력을 선호한다. 절기력은 4분기, 4계절로 각 계절마다 6개의 절기가 자리하고 있다. 역에서는 음이 가득차면 양이 태동해서 나타나고 양이 가득차면 음이 태동해서 나타난다고 한다. 둘은 순환관계로 이 세상을 움직인다. 어느한쪽만 있을 수 없다. 절기의 4계절은 그런 순환과정을 보여준다. 봄의 24절기는 2월4일 입춘을 시작으로 2월 19일 우수, 3..

1월 탄생석 의미, 뜻

1월의 탄생석 가넷(석류석) 서양이든 동양이든 새해가 되면 내 운은 어떨지 누구나 한번쯤 생각하게 되는것 같다. 20년 경자년이라고 불리는 올해도 1월이 다 지나가는데 이제야 탄생석에 대한 글을 정리해본다. 우리나라에서는 음력 새해 첫날 태어난 아이는 기가 세다고 해서 큰일을 하거나 아니면 역적이 되거나 하는 속설이 있었다고 한다. 특히 여자아이들에게는 그 잣대가 더 심하게 적용되어 팔자 세다고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1월의 탄생석은 가넷, 가닛이라고 불리는 석류석이다. 탄생석을 찾는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인 이유는 자신을 지켜주고 행운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희망때문이다. ** 1월 탄생석 의미, 뜻 **1. 석류석 이름의 유래1월의 탄생석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대중적인 보석, 가..

입춘 24절기 입춘대길 뜻 봄 절기 이야기1

입춘과 24절기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입춘에는 입춘대길, 건양다경과 같은 말을 쓰는데요. 24절기중 봄 절기는 입춘을 시작으로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의 6개 절기가 해당 합니다. 입춘에 쓰이는 사자성어 뜻과 입춘 음식과 세시풍속은 어떤 것이 있는지 정리하였으니 글을 끝까지 읽으신다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24절기는 우리가 흔히 쓰는 달력과 같은 개념의 절기력입니다. 농사에 쓰기 위해 만든 절기력은 중국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절기에 맞춰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일종의 농사력이었던 것입니다. 그중 봄 절기의 시작인 입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입춘이란? 절기력에서는 입춘이 새해 첫 날이 됩니다. 우리가 세는 음력 설은 달력에 해당하고 절기력과는 날짜에 차이가 있습니다. 음력 설은 매해 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