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세_타로_꿈해몽

춘분 뜻 음식 속담 24절기 봄 4편

소울럽 2020. 3. 12. 11:48
728x90
반응형

24절기 춘분 뜻 음식 속담 - 봄의 절기 4

24절기는 농사력으로 입춘을 시작으로 새해를 시작한다. 명리학도 입춘을 한 해의 시작으로 생각하는데 봄 절기의 4 번째에 있고,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난다는 3월 5일 경칩을 지나고 3월 20일 또는 21일에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하는 춘분이 시작된다. 2020년 춘분 날짜는 3월 20일로 태양의 황경이 0도의 위치에 올 때이고, 음력으로는 2월에 해당된다. 이후 봄의 절기는 청명과 곡우를 지나고 여름으로 넘어간다. 

절기는 태음태양력을 사용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이전 글을 참고하면 된다. 정월대보름은 태음력이고 경칩은 태양력의 절기로 달이 차고 기우는 기준을 기본 달력으로 삼고, 여기에 계절을 맞춰 사용한 것이다.  

24절기 중 봄의 절기 4번째- 춘분

24절기 이야기 - 춘분 뜻 속담 음식

춘분은 밤의 길이와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이다. 태양이 적도 위를 똑바로 위치하기 때문에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 가을에는 추분점이 밤과 낮의 길이 같은 지점이다. 
농사를 지을때는 이때를 전후해서 봄보리를 가는 시기라고 한다. 
음양으로 보면 동쪽으로 양이 정위치에 있고, 음이 서쪽으로 정위치에 있는 것이 춘분이다.

  • 계절 : 봄 (음력2월)
  • 날짜 : 2020년 3월 20일
  • 춘분 속담 :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꽃샘, 잎샘에 반늙은이 얼어 죽는다. 삼월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보리누름에 설늙은이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이월바람에 검은 쇠뿔이 오그라진다. 
  • 춘분(春分) 뜻 : 봄춘(春)나눌 분(分) 
    봄을 기준으로 동,서 음양이 정확히 나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즉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 

춘분 황도 0도 /이미지 구글


1.  춘분과 날씨 

음력 2월에는 바람이 많이 불어 춘분과 관련된 속담은 추위와 바람에 관한 속담이 많은데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는 속담이 대표적이다.  
흔히 양력 3월의 추위를 꽃샘추위라고 하는데 꽃샘의 뜻은 풍신(風神)이 봄이 오는것을 샘내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었다는 이야기에서 전래된 말이다. 바람이 많이 부는 이때 옛사람들은 고기잡이를 나가지 않고 먼길 떠나는 배도 타지 않았다고 한다. 그만큼 바람이 매서웠다는 뜻이 아닐까.  

이때는 날씨에 따라 한해의 날씨를 점쳤다고 한다. 바람과 물이 농사에 중요한 변수였음을 생각한다면 아주 중요한 날이었을 것이다. 이때 비가 오면 한해 동안 나라에 병자가 드물다고 하였고, 해가 나지 않고 어두우면 좋다고 여겼다. 일출 때는 정동 방향에 푸른 구름이 보이면 보리가 풍년이 든다 믿었고, 아주 맑은 날씨에 구름이 없으면 농사를 비롯해 만물이 제대로 자랄 수 없고 열병이 많이 생긴다고 믿었다.  
또 이날의 운기에 따라 점을 쳤는데 청이면 벌레로 해가 발생하고, 적이면 가뭄이 들고, 흑이면 물난리, 황이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이외에도 동풍이 불면 보리값이 내릴 정도로 풍년이 들고, 서쪽에 바람이 불면 보리가 귀해지고, 남쪽에서 바람이 불면 오월 전에는 물이 많고 오월 이후에는 가물어진다고 믿었으며 북쪽에서 바람이 불면 쌀이 귀해진다고 믿었다.  

2. 춘분의 풍속  

  • 사한제 :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북방의 신'현명씨'에게 지낸 제사.
    고려시대 - 입춘에 얼음을 저장해두었다가 춘분에 얼음을 꺼내 제사에 사용했다. 제삿날에는 돼지 한 마리를 바치고, 복숭아나무로 된 활과 가시나무로 만든 화살을 마련해 같이 놓고 제사가 끝날 때까지 그대로 두었다. 

  • 조선시대 - 겨울의 마지막 달에 얼음을 저장하여 춘분에 얼음을 꺼내 제사에 사용했다.  

춘분에 먹는 음식 나이떡 / 이미지 구글 캡처

3. 춘분에 먹는음식 3가지 -들나물, 볶은 콩, 나이떡 

춘분에는 담도 고치고 들나물을 캐어 먹는다고 하였는데 어려운 겨울을 보내고 먹거리가 충분하지 않은 시기에 자생적으로 올라오는 여린 들나물로 영양을 보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때 들과 산에 피는 나물로는 쑥, 냉이, 달래 등의 봄나물이 제철이다.  
또 집집마다 콩을 볶아 먹었고, 송편처럼 생긴 나이떡이라는 것을 먹었다. 나이떡은 나이 수만큼 먹었는데 일년 농사를 위해 힘을 많이 쓰는 머슴들에게 많이 먹였다고 해서 '머슴 떡'이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728x90
반응형